아내의 새 핸드폰 LG SB-350
예전에 사용했던 핸드폰도 LG 제품으로, 지금은 키보드 몇 개가 아예 작동을 하지 않지만 정말 튼튼합니다. 조심히 사용하기도 했지만, 애들을 키우면서 몇 번을 떨어뜨렸는지 모르고, 아이들이 서로 가지고 논다고 싸우다 내던진 것도 한두 번이 아닙니다. 원래, 제가 1년 넘게 사용했던 핸드폰이었는데, PDA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답시고 POZ라는 제품을 구매하면서 아내에게 넘겨준 것이어서 사용횟수는 더 오래됩니다.
그 핸드폰이 바로 아래 사진의 LG-SV130입니다. 그동안 오래도록 아내의 손을 탔는데, 가끔 먹통이 되는 등 힘겨워하다가 이제야 퇴역하네요.
새 제품을 살 때마다 늘 그렇듯이 기분이 좋아야 하는데, 마냥 좋지만은 않습니다. 바로 딸려오는 구성품 때문이죠. 며칠 전에 아들에게도 같은 LG 제품을 구매해 주었는데, 충전하는 잭의 크기가 틀립니다. 아니, 최근에 산 제품들인데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그리고 이렇게 차이가 나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새로 구매한 LG SB-350제품의 어댑터 연결구가 기존 제품보다 작습니다. 그러다 보니 같은 규격의 어댑터를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젠더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합니다.
충전장치 문제는 더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제품은 LG가 아니라 SKY 제품입니다. 물론, 같은 회사 제품이라도 모델이 다르다면 구매한 제품별로 가지고 있어야 할지 모릅니다. 저희 집처럼요.
이렇게 제품별로 충전 세트가 다른 것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나와야 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규격의 충전 어댑터까지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정말 이해가 안 되네요.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의 편의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편의를 위해 디자인이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 어댑터를 두 개 사용할지, 아니면 하나를 사용하면서, 자칫 잃어 버리기 쉽게 만들어진 작은 젠더를 잘 간수하면서, 뺐다 꼈다 하면서 사용해야 할까요? 이런 한심한 고민을 하게 되는 것 자체가 더운 날씨를 더욱 덥게 합니다.
빨리 작은 핀도 지원하는 충전기가 있어야 따로 젠더를 안가지고 다닐텐데요 ㅠ.ㅜ
참고로 저는 Ever 인데 여동생의 삼성 젠더를 쓰면 충전이 안되더군요 ..;;
nakada님 말씀과 같이 젠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어댑터라도 제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핸드폰은 젠더를 제공하면서 그조차도 잘 안지키더군요. =_=
아무리 슬림핸드폰이래도 저 24pin 커넥터하나 달지 못할정도는 아니라고 생각이 드는데 말이죠.
24pin 포받 약해 보이고 어댑터를 사요할 때, PC와 연결할 때 마다 젠더를
뺐다 꼈다해야 하니 불편합니다.
물론 젠더를 2개를 넣어 주었지만 다른 핸드폰도 연결해야 하거든요.
말씀 하셨듯..참으로 한심한 고민을 하고 있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설계한 사람도 뭔가 이유가 있을텐데요..
설마 바보는 아니겠죠?
예전에 핸드폰을 분해한 내부를 보았는데, 정말 빼곡하더군요.
과연 어떻게 디자인을 했을까? 보드의 아트워크는 어떻게 했을까?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표준이였던 24핀이 강제성이 없다보니 디자인과 슬림화를 위해서 그런일이 벌어진듯 합니다.
그래서 몇개월 전에 20핀 커넥터가 표준으로 바꼈다는데
보통 충전기와 충전커넥터 제작 업체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이라 한번에 표준으로 생산하기도 힘들다고 하더군요.
각자 방식을 쓰다가 24핀으로 바뀌기까지 어느정도 기간이 걸린만큼
24핀에서 20핀으로 자리잡기 까지는 아직은 조금더 기다려야 할것 같네요..^^;
그렇군요. 이제는 20핀 커넥터가 표준이군요.
모르고 하는 말씀일지 모르겠습니다만,
이것 하나 제대로 잡지 못하는가 하는,
한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각각의 모댈마다 충전기가 틀리고 ~
그나마 다행은 이제는 표준충전기라는 것으로라도 충전기 표준은 만들어서 다행이죠
우리집도 몇번 바꾸고 나니 이제는 부부둘다 하나의 충전기로 해결되어 나름 ㅎㅎ
충전기 세트는 별로 사용하지 않고 바로 어댑터를 연결하여 충전했습니다.
그래서 어댑터 하나만 있으면 되었는데, 지금은 2개를 사용하거나,
젠더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구~
요즘 외국은 미니 USB 포트로 충전하죠;;
18핀이나 20핀의 경우 왠지 삽질인거 같습니다.
국내 핸드폰은 usb와 충전어댑터를 모두 하나의 24pin이나 20pin 연결구를 이용합니다.
바뀐것은 어쩔수없다지만
다시 새로운 표준을 제정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지금 나오는 20핀 커넥터 조차도 삼성, KTF, LG 제각각일껄요
아이쿠, 도대체 정통부는 뭐하는 곳일까요?
조만간 다른 삼성, LG 등에서도 표준 20핀을 채택한 제품이 출시한다고 하는데
어서 표준 20핀으로 모두 통일되었으면 좋겠네요..;;^^
같은 모양의 20핀이 빨리 표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사용한 핸드폰인데^^;
참 정이 많이 들었던 녀석이죠. 저 녀석이 나왔던 당시
동급에서는 최강으로 불리던 기종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듀얼스테레오 스피커에 내부 용량도 컷고,
무엇보다 싸이언이라서 사용자를 위한 편의기능이 제법 많았죠. 그리워지는군요.
오호~ kb-1300은 캠코더 기능까지 있군요. 와우~
우리 정부 공무원들 무시하시는검미까? ㅋㅋㅋ
걔네들 나름 바쁘답니다... 이런 저런 쓰잘데기 없는 공문처리하랴,
자기할 일 하급기관에 떠넘기고 갈구랴...
국개의원들 뒤치닥거리 하랴...
세금안내고 싶은 우리나라... -_-;;;;;
볼트 하나 맞는게 없다고, 자전거 페달 전체를 바꾸라네요.
돈 몇푼과 양심을 맞 바꾸며, 쓰레기를 양산하고,
소비와 자본이라는 말장난으로 포장하는
한국 1% 엘리트야 말로,
정말 폐기 처분해야 할 물건 같아요.
영어를 모국어같이 구사된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이미가고 싶어요.
나보다 부자군....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