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컴퓨터에서 파일 공유 Dropbox
오늘은 일찍 자려고 했는데, 까나리님께서 알려 주신 Dropbox가 어른거려서 포기하고 한참 만져 보았습니다. 사용하는 방법이 매우 간단해서 사용 방법은 바로 알게 되었지만, 하도 신기해서 계속 만져 보고 있습니다. 정말 jwFreeNote를 사용한다면 최고네요.
Dropbox 간단 소개
간단히 소개한다면 서버를 따로 두고, 두 개 이상의 컴퓨터에서 파일을 똑같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서버는 물론 Dropbox에서 제공해 줍니다. 웹하드나 FTP서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만, 작업 후에 잊지 말고 서버로 올려 주어야 하지요. Dropbox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지정된 공유 폴더에서 작업을 하면 Dropbo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알아서 서버에 올려주고 내려주고해서 모든 컴퓨터를 동기화 시켜 줍니다.
또한, 고맙게도 컴퓨터 OS가 달라도 된다는 것이죠. 한쪽이 Microsoft Windows라면, 다른 쪽은 Apple Mac이나 리눅스라도 된다는 것인데, 안정만 보장된다면 너무 좋네요. Dropbox에 올려진 그림입니다.
그래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내려받는 버튼에도 Microsoft 외에도 Mac, Linux가 언급되어 있습니다.
Dropbox 회원 가입 방법
웹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링크부터 찾았는데, 없습니다. ^^; (1) 대신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실행 중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또는 아래에 있는 저의 초대 링크를 통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저의 초대 링크로 가입하시면 저에게 250MB의 무료 용량이 추가된답니다.
Dropbox에 가입하게 되면 처음 무료로 2GB를 제공하는데, 그 이상의 용량이 필요하면 용량 단위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는 다른 분을 초대하여 250MB씩 늘리거나 말이죠.
Dropbox 사용 방법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내 문서 안에 공유 폴더가 자동으로 생깁니다.
생성된 폴더 중에 "Public"에 아무 생각 없이 몇 개의 파일을 복사해 넣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PC에 Dropbox를 설치하고, 로그인을 했더니 자동으로 파일이 내려받아졌습니다.
즉,
- 설치하고 로그인을 하면 공유 풀더가 생기고,
- 그 공유 폴더에서 작업하면 끝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컴퓨터 2 대를 가지고 작업해 보았는데, 한쪽에서 수정하고 저장하면 다른 컴퓨터에서 업데이트되더군요. 물론 잠시 시간은 걸리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호~ 이런 훌륭한 서비스를 지금에야 알다니요. 이런 좋은 서비스를 알려 주신 까나리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다른 분의 글을 읽어 보니 Dropbox에 파일이 저장될 때 보안은 위해 암호화해서 저장된다고 하는데, 얼마나 안전한지는 모르겠습니다. 너무 중요한 파일은 아무래도 피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
dropbox는 한 폴더만을 싱크하지만 mesh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폴더도 동기화가 가능하더군요.
windows만 지원한다는 것만 제외하면 mesh가 살짝 더 좋은 것 같네요. 용량도 2배이고...
말씀 주신 evernote도 좋아 보이는데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현호승님께서 언급하신 mesh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링크 걸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www.mesh.com/welcome/default.aspx
그리고 더 많은 서비스를 소개한 곳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http://jamesdc92.tistory.com/entry/USB를-대체하는-웹드라이브-기능-비교-Syncplicity-Dropbox-Zumodirive-Sugarsync-Ndirive
mesh: rollback이 되지 않는다(sycplicity는 웹으로 접속하면 예전버전으로 돌릴수가 있더군요)
해서 저는 syncplicity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
말씀대로 회원가입, jwmx님께 250M 추가시켜 드리고(초대 링크를 통하여 프로그램 설치하고), My Dropbox 디렉터리에서 새로운 나만의 한글명, 영어명으로 디렉터리를 만들기를 시도했는데 잘 됩니다.
USB 메모리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을까봐 걱정입니다???
매번 좋은 프로그램을 소개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래도 까나리님 덕분에 알게된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 ^^
저희 회사에서는 TortoiseSVN를 쓰고 있어용.
팀 프로젝트나 업데이트에는 유용하더라구요
jwFreeNote를 이용하지 못하는게 아쉽습니다만,
프로젝트관리하기에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
N Drive 서비스도 참 마음에 드네요.
아예 여러 폴더를 전체로 가상 Drive에 올려놓고.. 작업을 하니, 수시로 syn를 하더라구요.
덕분에 jwFreeNote를 여러군데에서 값지게 쓰고 있답니다.
인터넷만 된다면.. USB가 필요없어질 지경입니다.
만일 그렇다면 국내 서비스인만큰 속도도 빠를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만.
아직 Beta라서 그런지..
syncplicity로 다시 설정해서 사용하려 합니다.
이런 문제는 다른 비슷한 프로그램에도 있군요.
저는 jwFreeNote만 사용해서 파일이 크지 않아서인지
CPU 사용량이 높아졌다가도 곧 내려 와서 다행입니다.
큰 파일을 사용하시는 분은 참고하세요. ^^
Oloklir님이 블로그에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http://oloklir.tistory.com/58
혹시 winXP에서 심볼릭 링크가 필요하시다면 조금 불편하긴 하지만
Junction v1.05를 사용해 보세요.
http://www.microsoft.com/technet/sysinternals/FileAndDisk/Junction.mspx
를 통해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아직까지는 cui만 제공되기 때문에 조금 불편한 점은 있습니다만 저는 요긴하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바로가기도 이용하긴 하고요.
답글을 이제야 올려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