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Commander
FreeCommander은 TotalCommander와 같은 윈도 탐색기 대용 프로그램입니다. TotalCommander는 따로 말씀 드리지 않아도 매우 유명한 프로그램이죠. 사용하시는 분도 많고 매우 다양한 기능은 정신이 없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편리한 프로그램이지만 저는 이상하게 정이 안 가더라구요.
또한, 국내 프로그램으로 flyExplorer라는 매우 훌륭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처음 봤을 때에는 윈도 탐색기 두 개를 붙여 놓은 듯한 모습으로 바로 제가 원하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그러나 사용하면서 좀 무겁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흠....이후로 줄곧 윈도 탐색기만 사용해 왔습니다.
이번에 웹 검색하다가 엉뚱하게 원하는 자료대신에 눈에 띈 것이 FreeCommander였습니다. 간단하면서도 필요한 기능만 알뜰하게 들어 있는 것이 제 입맛에 딱 이었습니다. 거기에다가 Freeware....^^......말 그대로 Serendipity 이네요.....^^
실행화면입니다. 둘로 나뉘어진 파일 목록에 폴더 트리를 배치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Setup 할 때에는 영문이었습니다만, 한글 언어 팩이 자동으로 깔려서 사용하기에도 매우 편리합니다.
숫자 키패드의 + 키를 누르시면 한번에 여러 파일을 한번에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예로 모든 실행파일과 ini 파일을 선택하시려면 패턴에 *.exe;*.ini 로 ; 문자로 구분해서 입력하신 후 엔터키를 누르시면됩니다.
실행파일과 ini 파일만 선택된 모습입니다.
이제 단축키 F5로 옆의 폴더로 복사하시거나 F6로 이동, F8로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사용해 본지가 얼마 안 돼서 엉뚱하게 말씀 드리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만, 네트워크에서 다른 P.C. 의 공유 폴더를 바로 선택하는 방법이 없어서 헤맸는데 [메인 메뉴>>폴더>>찾기] 메뉴를 선택하시거나 단축키 [Shift-F7] 를 누르시면 로컬 폴더 외에도 다른 컴퓨터의 공유 폴더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즐겨 찾기 기능이 눈에 띄더군요. 아래 화살표가 가리키는 버튼을 클릭하면 자주 사용하는 폴더를 즐겨 찾기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즐겨 찾기 이름을 입력하고 선택했을 때, 활성/비활성 부분에 대한 폴더를 지정해 주면 더 편리하게 폴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처럼 메뉴를 이용하여 바로 폴더로 이동하실 수 있고, 순서에 따라 Shift+Ctrl+숫자로 된 단축키로 바로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용량도 작은 프로그램에 편리한 기능들이 정말 알뜰히도 담겨 있습니다.
장점이 많은만큼 단점도 많더군요.
토탈시도후 탐색기 썻는데 바꿔봐야겠
게다가 전부 키보드로 컨트롤 할 수 있다는 게 더 큰 장점이랍니다. WinM 대체할 만한 게 있으면 바꾸고 싶기도 한데...
TotalCommander 는 이런 기능이 없는것 같은데,
저는 이점이 불편하더라구요.
혹 TotalCommander 에도 폴더 트리를 따로 출력할 수 있는
설정이 있나요?
[보기]-[폴더트리]를 선택해보세요.. 그럼 표시가 된답니다..^^
문제는 진짜 좀 무거운 듯 합니다.
종종 종료가 되어버리더군요.
프리코맨더도 한번 써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프로그램 전문 다운로드 사이트같은 곳에서는
찾을 수 없습니다.(마이폴더/앳파일/심파일 등)
4.5.591 버젼입니다.
아직까지 이 정도의 완성도를 가진 프로그램은 못찾겠더군요.
http://rd.empas.com/b.tsp?/winm/F8:3:101000:DA3CA70A::/*i=2062646&sn=1522591003&q2=winm&dv=a&w=2dc0c1c2c3c4c5c1c5&dw=c4&vl=A&vn=4:%B3%D7%C0%CC%B9%F6:eq=1522591003%2C20060604::/*blog.naver.com/exfly/70004819095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면 될것도 같은데.....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신에 WinKey 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inKey+E 말고도 핫키를 사용자가 정의해서 사용하는데,
작으면서 편리하다고 들었습니다.
한번 WinKey 를 검색해 보시죠.
원래 개발자이신 최정한님은 손을 뗐대요.
wenli님이 올리신 게 마지막 버전일 겁니다.
패쓰...